- 시골언니 프로젝트 지속적인 발전방안 논의
- 청년여성 농촌지역 정착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방향 설명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11월 16일(목) 조치원 문화정원 커뮤니티공간 뜰에서 「시골언니 프로젝트*」성과공유회를 개최하였다.
* 시골언니 프로젝트 : 청년 여성들에게 농업농촌에 대한 지역 탐색 기회를 제공하고 향후 정착에 필요한 사회관계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
이번 성과공유회는 농촌에 먼저 정착한 여성 멘토, 청년여성 참가자 등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프로젝트 사례들을 발표하고, 프로그램과 연계한 성과 및 앞으로 시골언니 프로젝트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올해로 두 번째 해를 맞이한 시골언니 프로젝트는 총 12개의 프로그램으로 숙박과정(1주과정 및 2주과정)을 통해 교육기간 동안 작은 도서관, 목공반, 지역 라디오 방송 제작 등 꼭 농사를 짓지 않아도 지역에 정착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골언니들을 만나고, 그들의 농촌라이프 스타일을 경험하면서 향후 정착에 필요한 사회적 관계망을 구축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1주 과정, 8개) △농사짓지 않아도 괜찮아(강원 원주), △시골언니와 함께하는 로컬 HIP-LIFE(경북 영주), △청도를 바꾸는 로컬크리에이터 시골언니(경북 청도), △좌충우돌 언니들의 시골살이(울산 울주), △다채로운 라이프 스타일 ‘시골언니 잠시섬’(인천 강화), △씨앗 되는 시간(제주), △시골언니들의 초대(제주), △무안 매력에 함 빠져볼래(전남 무안)
* (2주 과정, 4개) △나의 삶과 지역을 새롭게 연결하는 시도유니온(강원 강릉), △폐교에서 즐기는 다양한 시골체험(경북 상주), △농촌을 걷다, 농부를 만나다, 풍요를 맛보다(충남 당진), △로컬미디어LAB(충북 옥천)
시골언니 프로젝트에 참여한 한 참가자는 “인천 강화에서 프로그램을 참여 했는데, 강화라는 낯선 공간이 공동체를 중심으로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고, 시골언니들과 서로 든든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느껴졌다”라며, ‘시골언니프로젝트’의 가장 인상적인 순간을 꼽았다.
농식품부 농촌정책국 이상만 국장은 “시골언니 프로젝트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후속단계 프로그램인 귀농귀촌 지원사업과 연계해, 청년여성이 농촌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지원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골언니 프로젝트 운영기관별 교육실적 |
유형 | 운영기관 (지역) |
프로그램명 | 프로그램 내용 | 수료인원 |
1주유형 | 한국농산어촌네트워크 (강원/원주) |
농사짓지 않아도 괜찮아 | 자연감수성을 경험하는 활동(숲요가, 숲밧줄놀이)을 통해 몸도 건강해지고, 자연을 느끼는 즐거움으로 마음도 신나지는 시간. 지역의 학교, 마을, 원도심, 문화체육 시설을 경험하면서 지역을 이해하고, 시골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선사하는 농촌탐구프로그램. | 28 |
주식회사 남산선비마을 (경북/영주) |
시골언니와 함께하는 LOCAL HIP-LIFE |
죽령옛길 걸어보기, 로컬푸드 도시락과 함께하는 줍깅과 피크닉, 여성 농업인 농가 체험뿐 아니라, 참여자들과 지역 농부들이 함께하는 남선마켓을 공동으로 기획 및 운영할 예정. | 23 | |
온누리국악예술인협동조합 (경북/청도) |
청도를 바꾸는 로컬크리에이터 시골언니 | 청도의 로컬크리에이터 언니들(서점, 농가, 제로웨이스트, 펜션, 공예)과의 만남을 주선하고, 청년들이 주도하는 청도의 청사진을 제시. 청도의 자연을 누리며 시골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방법을 제안. | 28 | |
울산생태문화 교육협동조합 (울산/울주) |
우리 같이 산다. 좌충우돌 언니들의 시골살이 | 영남 알프스 해발 500미터 청정 소호 마을. 자기 치유와 돌봄을 중심으로 귀촌 20년차 언니들부터 6개월차 언니들의 시골살이 경험을 진솔하게 나누고, 지역에 연결될 수 있는 로컬 네트워킹을 제공. | 20 | |
협동조합 청풍 (인천/강화) |
다채로운 라이프 스타일 ‘시골언니 잠시섬’ | 청년 여성들이 잠시 강화섬에 머물며 새로운 삶의 경로를 탐색하는 프로그램. 문화예술, 비건, 요가 등 자신만의 개성을 담아 주체적으로 삶과 업을 만들어가는 강화의 이웃들의 삶을 엿보고, ‘나만의 로컬 탐색' 시간을 통해 나다움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인식을 확장. | 25 | |
씨앗바람 연구소 (제주) |
씨앗 되는 시간 – 자기 삶의 창조자들과의 만남 | 제주에서 자기 삶의 전략을 수정, 발전시켜 온 언니들과 그들의 공동체를 연결. 토종 텃밭과 자연농을 탐방하며 경작 및 수확활동, 농민장터에 셀러로 참여하면서 ‘결심 이후의 삶’이라는 전환의 씨앗을 품을 수 있도록 응원. | 28 | |
청수살롱 (제주) |
탐라국 시골언니들의 초대 | 시골언니의 아뜰리에에서 밭작물을 활용한 쨈만들기, 마을 카페에서 청만들기등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여성농업인의 일상을 함께 체험. 생태자원이 풍부한 청수마을 탐방과 농장공방체험(인견이불 감물들이기), 여성농업인 농장견학등 프로그램으로 구성. | 37 | |
주식회사 가치이룸 (전남/무안) |
무안 매력에 함 빠져볼래? | 나와 무안을 탐색해보고 지역인프라를 활용해 청년여성이 새로운 삶의 기회를 찾아보는 프로그램. 지역의 자원과 문화를 이용해 시골의 가치를 기획해보면서 매력적인 무안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고 함께 연대하고 살아가는 방법을 제안. | 27 | |
2주 유형 |
생태전환마을 내일협동조합 (강원/강릉) |
나의 삶과 지역을 새롭게 연결하는 <시도유니온> |
강릉의 고유문화를 우리만의 방식으로 새롭게 해석하고, 해설하고, 헤엄치는, 시골과 도시의 여성들을 드러내는 본격 <시도하는 여성들> 프로젝트. 퍼머컬처 디자인을 비롯해 미디어(영상,음악), 글쓰기,공예등을 연계한 프로그램 운영. | 10 |
청년이 그린 협동조합 (경북/상주) |
폐교에서 즐기는 다양한 시골체험 (N잡러) |
시골언니의 삶과 다양한 마을 언니의 삶을 경험해보며 자신의 시골 라이프를 설계해보고 실험해 볼 수 있는 기회. 친환경농사경험을 중심으로 마을까페, 작은도서관, 목공방, 농산물 판매등 시골언니들의 삶의 현장에 동행하고 상주의 매력을 탐색. | 12 | |
농부스트 (충남/당진) |
농촌을 걷다, 농부를 만나다, 풍요를 맛보다 | 농촌으로 출근하며 자신의 업을 만들어가는 시골언니들과 열흘간 5곳의 마을을 다양하게 탐색하며, 농촌을 알고 걷고, 농부를 알고 음식을 맛볼 수 있는 시간. 그 속에서 얻어진 풍요를 함께 때론 혼자 오롯이 만끽할 수 있는 로컬비즈니스 탐색 프로그램. | 11 | |
고래실 (충북/옥천) |
로컬미디어LAB | 라디오 제작, 취재 동행, 나만의 아카이빙 등 미디어 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것을 비롯해 친환경 농업, 청소년 활동, 이주민 인권 등 다양한 분야의 옥천 시골언니들을 만나며 시골살이를 위한 미디어근육을 다지는 프로그램. | 11 | |
수료인원 합계 : 260명 |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덜 쓰고 덜 타면 혜택이 쏠쏠~`` 서울시, 에코·승용차마일리지 계절관리제 특별포인트 지급 (0) | 2023.11.19 |
---|---|
숨은 금융자산 17조 9000억 원…확인하고 찾아가세요 (0) | 2023.11.19 |
정부, 생필품 ‘슈링크플레이션’ 실태 조사 나선다…“편법 인상 엄중 인식” (0) | 2023.11.19 |
IMF “한국 내년 말 물가안정 목표 달성 예상” (0) | 2023.11.19 |
수능 끝난 수험생들, 체험활동 하고 숨겨진 재능 깨워보자 (1) | 2023.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