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dvertising&Marketing

방송매체 광고유형별 용어 정리

by 궁금이23 2023. 7. 17.
반응형

방송매체 광고유형별 용어 정리

 

 

1]방송매체 광고

1)프로그램 광고 (지상파TV 및 라디오) / 일반광고(케이블TV)

방송프로그램의 전후(방송프로그램 시작타이틀 고지 후부터 본방송프로그램 시작 전, 본 방송프로그램 종료 후부터 방송프로그램 종료타이틀 고지 전)에 방송되는 광고로 광고주가 프로그램 스폰서로 참여.

2)토막광고(SB)

방송프로그램과 방송프로그램 사이에 방송되는 광고, 일반적으로 지상파 방송에서는 20초와 30초의 광고시간으로 집행되며 프로그램 광고와 달리 방송 권역별로 제한하여 광고를 집행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광고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

 

 

3)자막광고(곧이어, ID)

방송순서고지(곧이어), 방송국 명칭고지(ID) 시화면 하단에 노출되는 자막형태의 광고.

4)시보광고

방송국에서 현재시간 고지 시 함께 방송되는 광고.

 

 

5)가상광고

방송프로그램에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만든 가상의 이미지를 삽입하는 형태의 광고.

 

 

6)간접광고(PPL)

방송프로그램 안에서 상품을 소품으로 활용하여 노출시키는 형태의 광고.

7)제작 협찬(협찬 광고)

방송프로그램에 협찬을 지원하고 광고주명 등과 협찬 사실을 고지하는 광고.

8)캠페인 협찬(캠페인 광고)

일반적인 상품광고와는 달리 주로 공익적 메시지를 전달한 후 광고주의 기업명을 노출시키는 광고로 방송사와 공동제작형태.

9)일반광고 기타(변형광고, 필러 등)

케이블 TV에서 집행하는 광고 중 일반광고를 제외한 광고유형으로 광고주의 제품을 특화시켜 프로그램 내 또는 타이틀 제작 시 노출시키는 변형, 광고, 협찬사 제품을 클로즈업하여 노출시키는 필러광고 등이 있음.

10)로딩광고

IPTVVOD 프로그램 이용 시, 프로그램 로딩시간 동안 노출되는 광고.

11)Addressable 광고

IPTV 내 세부 광고유형 중 하나로, 전국 동시에 동일하나 광고가 송출되는 것이 아니라, 가구별 속성을 분류하여 Audience Targeting이 가능한 광고상품을 말함.

 

 

출처: 방송통신위원회[방송광고 협찬고지 모니터링 기반 구축 사업], 방송통신광고 통계시스템

반응형